[백준] 1003번: 피보나치 함수 - Kotlin[코틀린]
·
알고리즘/Baekjoon
문제 1003번: 피보나치 함수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0이 출력되는 횟수와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 www.acmicpc.net 풀이 문제에서 주어진 코드대로 피보나치 수열을 재귀함수로 구현하고, 0과 1을 세는 방법으로 문제를 풀면 시간초과가 발생한다. 대신 DP를 이용해 피보나치 수열을 풀면 된다. 피보나치 수란 한 단계 전의 숫자와 두 단계 전의 숫자를 합한 수의 수열이다. 예를 들어 1, 1, 2, 3, 5, 8 ... 등이 피보나치 수이다. 피보나치 수를 점화식으로 나타내면 dp[n] = dp[n - 1] + dp[n - 2]이다. 이 점화식에서 dp[n - 1] = dp[n - 2] + dp[n - 3] 이고 dp[n - 2] = dp[n - 3] + dp[n - 4]..
[백준] 1929번: 소수 구하기 - Kotlin[코틀린]
·
알고리즘/Baekjoon
문제 1929번: 소수 구하기 첫째 줄에 자연수 M과 N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M ≤ N ≤ 1,000,000) M이상 N이하의 소수가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www.acmicpc.net 풀이 어떤 수가 소수인지 알기 위해서 아래 코드로 판별할 수 있지만, 범위 내에 모든 수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판별한다면 비효율적이고 이 문제에서 시간초과가 발생한다. for(i in start .. end) { var cnt = 0 for(j in 1..i) { if(i%j==0) { cnt++ } } if(cnt==2) { println(i) } } 대신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범위 내에서 소수의 배수는 모두 지워가는 방식이다. 2의 배..
[백준] 2751번: 수 정렬하기 2 - Kotlin[코틀린]
·
알고리즘/Baekjoon
문제 2751번: 수 정렬하기 2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 이 수는 절댓값이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 www.acmicpc.net 풀이 먼저 퀵 정렬로 구현하였다가 시간 초과로 실패하였다. 해결 방법을 찾던 중에 https://www.acmicpc.net/board/view/31887 이 공지글을 보았고, 이 문제를 풀기 전에 먼저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이 문제는 시간 복잡도가 O(NlogN)인 정렬인 병합정렬이나 힙 정렬, 기수 정렬, 카운팅 정렬을 사용해야한다. 버블 정렬, 선택 정렬, 삽입 정렬 등은 시간 복잡도가 O(N^2)이므로 시간 초과한다. 퀵 정렬은 평범하..
[백준] 1463번: 1로 만들기 - Kotlin[코틀린]
·
알고리즘/Baekjoon
문제 1463번: 1로 만들기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6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풀이 N을 만들기 위한 3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N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면, 3으로 나눈다. 2. N가 2로 나누어 떨어지면, 2로 나눈다. 3. 1을 뺀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1. dp[n] = dp[n/3] + 1 2. dp[n] = dp[n/2] + 1 3. dp[n] = dp[n-1] + 1 이고, 3나누기 -> 2나누기 -> 1빼기의 차례대로 연산을 사용하는 횟수가 적어질 것이다. 따라서 우선 dp[n]을 dp[n-1] + 1인 경우로 저장하고, 2의 배수이면 dp[n/2] + 1, 3의 배수이면 dp[n/3] + 1 으로 계산해준다. 코드 im..
[백준] 1316번: 그룹 단어 체커 - Kotlin[코틀린]
·
알고리즘/Baekjoon
문제 1316번: 그룹 단어 체커 그룹 단어란 단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에 대해서, 각 문자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만을 말한다. 예를 들면, ccazzzzbb는 c, a, z, b가 모두 연속해서 나타나고, kin도 k, i, n이 연속해서 나타나기 때 www.acmicpc.net 풀이 이 문제는 문제의 설명에 따라 구현하면 되는 문제이다. 우선 알파벳의 개수인 26을 길이로 하는 check 배열을 만들어준다. check[0] = a, check[1] 은 b, ... check[25] = z 를 의미하는 것이다. check[문자 - 'a']를 통해 문자를 체크 할 수 있다. 반복문에서 문자를 체크해주며 이번 문자가 전 문자와 같다면 continue로 생략한다. check 배열이 true이면 이 문자열은..